초등특수교육과 학과탐방
초등특수교육과는?
초등특수교육전공은 특수교육대상인 모든 장애 영역 즉,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부자유, 정신지체장애, 정서장애 등에 대한 교육내용의 심도 있는 강의와 특히 초등학교 교과영역인 국어, 수학, 사회, 도덕, 영어, 실과, 음악, 체육, 미술 등 10개 교과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통하여 특수학교 초등교육과정의 전 영역과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을 담당할 교사로서의 자질을 연마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현장에서 독특한 특수 교육적 요구를 가지고 있는 초등학생 및 아동들에 대해 능숙하게 대처하고 특수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소양에 기초한 실습 및 견학을 통해 장애 영역별 특수교육교사 기능을 갖추어 보다 성실하고, 학문적이고, 인성적 자질을 두루 갖춘 초등특수교사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내의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자치기구
우리 학과 내에는 7가지의 다양한 봉사활동 소모임이 있다. 봉사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소모임이라 할지라도 각 소모임 마다 다양한 특색들이 있으며 운동, 풍물놀이 등을 장애아동들과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하고 있다. 예비 특수교사로서 특수교사의 자질에 대해서 미리 체험하며 아이들과 더 쉽게 다가 갈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또 한 멀티미디어실(컴퓨터실), 공학실(컴퓨터실), 초등자료실, 임용고사 준비실의 4가지의 자치 기구를 운영하여 초등특수교육과 학생들의 대학생활의 편의를 주고 있다.
<OT 단체사진> <사범대 체육대회 사진>
졸업 후 진로
초등특수교육을 전공한 학생들은 졸업 후 일반적으로 사립 특수학교의 초등부 특수교사, 임용시험을 통한 공립 특수학교, 일반 초등학교내의 특수학급 교사로서 종사하거나, 장애인 관련 전담 어린이집 및 복지관, 사설교육기관의 교사, 특수교육 관련기관 연구소의 연구원으로도 근무하게 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자립적으로 관심이 있는 분야의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설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등 졸업 후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소질과 능력을 발휘하여 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