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필독]2024학년도 전기(2025년 2월) 졸업예정자 졸업여부 사전확인
2024학년도 전기(2025년 2월) 졸업예정자 졸업여부 사전확인
<졸업사정 관련 학사지도 내용>
1. 졸업학점, 전공학점, 교양학점, 복수전공학점 모두 충족되나 졸업논문이 미이수일 경우 ‘수료’ 상태가 되며, 이 경우 수강신청 및 졸업연기 불가
2. 수료 상태에서 졸업논문을 이수하면 이수한 당해 학기에 졸업 가능
3. 결격사유 없이 졸업학점 및 졸업요건은 충족되나 교직이수자 중 교직과목 미이수, 공학인증과목 미이수, 부전공 미이수자는 졸업은 가능함.
단, 교원자격증 취득, 공학인증프로그램이수, 부전공 이수,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 현장실습을 위해서는 반드시 졸업연기 신청
4. 교직이수자는 반드시 교직사정 확인(문의: 850-5133)
5. 학적상태에 [수료]로 표기된 학생은 현 학적상태가 수료 상태인 학생으로 졸업논문(시험, 실기발표 등)이 이수되어야 졸업 가능
6. 현재 졸업사정표는 2024학년도 2학기 수강신청 내용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확인하며, 이수 가정 하에도 전공학점 또는 교양학점이 부족할 경우 반드시 2024학년도 2학기 겨울 계절학기에 수강신청(2024. 11. 18. ~ 11. 22.)
<복수전공 졸업사정표>
1. 복수전공 사정은 “가”이지만 주전공 및 교양 사정이 “부”일 경우 졸업 불가
2. 결격사유란의 부족한 학점 및 미이수과목은 반드시 2024-2학기 수강신청 내역(붙임참조)을 참조하여 이수 유무 확인
3. 연계융복합전공의 경우 반드시 연계영역별 학점 이상 이수하였는지 확인(3개 전공 연계 – 각 12학점 이상, 4개 전공 연계 – 각 9학점 이상)
4. 복수(융복합)전공 학점이 부족할 경우 졸업이 불가하며, 학기 초과를 통한 학점단위 등록으로 미이수한 학점을 이수하여야 졸업 가능
5. 비고란에 [수료]로 표기된 학생은 현 학적상태가 수료 상태인 학생으로 졸업논문(또는 졸업시험, 실험실습, 졸업작품발표 등) 이수가 되어야 졸업 가능